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윈도 10 디펜더 백신 끄는 방법

윈도 10 디펜더라고 하는 백신이 있습니다. 이것은 처음부터 Windows 운영체제가 설치되는 순간에 내장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실시간으로 보호하는 기능이 자동으로 켜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평소에 보안 문제를 해결하려면 외부 백신을 별도로 설치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하면 약간은 불안한 마음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고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과 함께 많은 신뢰도가 있는 백신이라고 합니다.

평소에 실시간으로 악성코드를 감지하고 있다고 하니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지금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악성코드로 오인해서 디펜더가 자동으로 삭제할 수도 있을 겁니다. 그러면 많이 곤란하고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에 잠깐 동안만이라도 실시간 보호를 꺼주는 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

윈도 10 디펜더 실시간 보호 기능을 끄는 순간 시스템에 허점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보안과 관련된 것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필요한 순간이 오면 잠깐만이라도 끄고 작업하는 것을 권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제 윈도 10 디펜더 실시간 보호 기능을 끄는 방법을 살펴볼까 합니다.

첫 번째 과정입니다. 우선 시작을 누르고 윈도 설정이 있는 톱니바퀴를 클릭합니다. 다음은 업데이트 및 보안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혹시라도 시작 메뉴 부분에서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윈도 키와 i 키를 눌러주면 된다고 합니다.



두 번째 과정입니다. 업데이트 및 보안 항목에 보이는 Windows 보안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보호 영역을 찾았다면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세 번째 과정입니다.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에서 보게 되면 작업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고 나올 겁니다. 이것은 실시간으로 보호 기능이 켜져 있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따라서 설정 관리 메뉴를 선택해 줍니다.

네 번째 과정입니다. 켜져 있는 실시간 보호 기능을 끄기로 바꿔주어야 합니다. 설정을 변경하고 나면 작업표시줄에서 알람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한편 실시간 보호 기능이 꺼져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경고가 생기게 됩니다.

윈도 10 디펜더 실시간 보호 기능과 관련해서 디펜더 이외의 백신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에도 실시간으로 보호 기능을 끄는 것은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작업이 끝나면 곧바로 켜야 합니다.